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3

기시감과 미시감, 데자뷰(Déjà vu) 반대말은 자메뷰(jamais vu) 우리 표현 중 기시감이라는 단어는 흔히 데자뷔, 혹은 데자뷔라는 단어로 더 많이 언급되곤 합니다. 그리고 그와 반대되는 개념이 우리말 미시감, 그리고 자메뷔, 혹은 자메뷔입니다. 이 두 용어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기시감 혹은 데자뷰(Déjà vu) 기시감 혹은 데자뷰(Déjà vu)는 보통 처음경험하는 현상이나 상황이 이미 이전에 존재했던 것처럼 느끼는 감각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인구의 2/3 정도는 일생에 한번 이상 이런 현상들을 경험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니 엄청나게 흔한 현상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인간이 데자뷰(Déjà vu) 현상을 경험하는 이유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가장 잘 알려진 설은 일종의 기억을 간략화하여 저장한다는 설입니다. 일상에서 겪어 되는 많은.. 2023. 5. 28.
리비도 뜻 ; 프로이트의 리비도(Libido)에 대하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는 리비도(Libido)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프로이트가 처음 사용했을 당시 리비도는 주로 성적욕구에서 기인한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 일종의 본능 혹은 충동을 의미하는 용어로 정의됩니다. 1. 프로이트의 리비도(Libido) 프로이트는 인간의 심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 에고와 슈퍼에고(초자아), 그리고 이드의 개념을 만들었습니다. 리비도(Libido)는 이 중 주로 이드의 영역에 존재합니다. 이드의 영역인 리비도의 에너지는 성장함에 따라 슈퍼에고와 갈등을 일으키게 되며 보통은 사회적 관습과 문화에 적응하기 위해 자신의 리비도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행동을 이끌어냅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억압된 리비도는 긴장이나 불안등의 부작용으로 이어지게 되고 이것이 자기방어로 나타날 .. 2023. 5. 27.
재보험이란? 재보험의 의미 및 기능 보험가입자가 든 보험상품의 보험가액이 너무 크거나 하나의 회사에서 단일한 보장으로 보험을 운영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는 경우라면 보험자는 어떻게 이 상황을 타계해야 할까요? 이럴 때 등장하는 것이 바로 재보험의 개념입니다. 1. 재보험(再保险, Reinsurance)이란? 2. 재보험자와 원보험자의 관계는? 3. 재보험의 기능 1. 재보험(再保险, Reinsurance)이란? 재보험이란 보험 회사들이 자신들이 가진 보험 위험을 다른 보험 회사들과 공유하거나 분산시켜 안정적인 운영을 도모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보험회사들은 재보험을 통해 자신들이 보장하기로 한 상품들의 위험을 분산시키거나 이전하는 효과를 통해 사고발생 시 실제로 이루어져야 하는 보험금의 액수를 분산시키고 회사 운영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됩니.. 2023. 5. 26.
청구권대위; 보험자대위, 잔존물대위와 뭐가 다르지? 보험자대위와 잔존물대위까지 알아보았다면 이번에는 청구권대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구권대위는 흔히 제삼자에 대한 보험자대위로고 불리며 크게 보험자대위 중 하나입니다. 1. 청구권대위란? 청구권대위는 보험상품을 가입한 A가 제 3자에게 피해를 입었을 때의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해가 3자의 행위로 인해 발생했을 시에는 보험금을 지급한 보험자는 지급한 보험금의 한도 내에서 제삼자에 대한 보험계약자 또는 피보험자의 권리를 취득하게 됩니다. 역시나 말이 무척이나 어렵죠? 조금 풀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사고를 당한 피해자이자, 비포보험자를 A로 칭하겠습니다. A는 "ㄱ"보험에 가입을 하여 피보험자이며, "ㄱ"회사는 보험자입니다. 그런데 A가 어느 날 B가 일으킨 사고로 교통사고를 당했습니다. 피해자가.. 2023. 5. 25.
잔존물대위 뜻; 잔존물대위란게 대체 뭐야? 보험물대위와 함께 가장 자주 볼 수 있는 용어 중 하나가 바로 잔존물대위입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잔존물대위는 보험물대위의 한 종류로 조금 더 구체적인 대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잔존물대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잔존물대위란? 보험의 목적이 전부 멸실한 경우, 다시 말해 보험 목적물이 소멸한 경우 보험금액 전부를 지급한 보험자는 그 목적에 대한 피보험자의 권리를 취득하는데 이를 보험의 목적에 관한 보험자대위 혹은 목적물대위, 잔존물대위라고 부릅니다. 뭔가 알듯하면서도 복잡한 용어인 것 같죠? 그래서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A 씨가 자신의 건물에 대한 화재보험을 회사 B에 가입했습니다. 그런데 화재가 발생했고 이후 화재에 대한 손해로 건물이 전부 멸실되었습니다. 이런 경우 회사 B는 보험을 가입한 A.. 2023. 5. 24.
보험자대위란 무슨 뜻일까? 손해평가사들이 주로 취급하고 있는 손해보험계약은 보험자가 보험사고로 인한 실제 손해액, 실손해액이상 보험료를 지급할 수 없다는 이득금지의 원칙을 기본으로 합니다. 여기에서 파생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보험자대위입니다. 1. 보험자대위란? 보험자대위는 보험사고가 발생했을 때 피보험자의 실제 손해액을 보상해준 보험자 즉 보험사가 보험금을 지급한 경우 그 피보험자 또는 보험계약자가 보험의 목적이나 제 3자에 대하여 가지는 권리를 법률상 취득한느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이 권리가 사물에 대하여 적용는 목적물대상 권리인 경우 목적물 대위 혹은 잔존물대위라고 별도의 이름으로 구분하게 되고, 제3자에게 관련사항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인 경우에는 청구권 대위라는 이름으로 구분하여 부르게 됩니다. 다시 말해 뒤에서 살.. 2023. 5. 23.